도시가스요금 할인
일정한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도시가스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. 도시가스요금을 할인 받으려는 사람은 주민등록등본 주소지 기준으로 해당 지역의 일반도시가스사업자 또는 주민센터에 신청하면 됩니다.
◇ 도시가스요금 할인
☞ 다음의 구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매월 다음의 구분에 따른 도시가스요금을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.
구분 |
취사난방용 |
취사용 |
||
동절기(12~3월) |
동절기외(4~11월) |
|||
장애인(1~3급) |
24,000원 |
6,600원 |
1,680원 |
|
국가유공자 및 5·18민주유공자(1~3급) |
24,000원 |
6,600원 |
1,680원 |
|
독립유공자 또는 수급자 |
24,000원 |
6,600원 |
1,680원 |
|
기초생활수급자 |
생계·의료급여 |
24,000원 |
6,600원 |
1,680원 |
주거급여 |
12,000원 |
3,300원 |
840원 |
|
교육급여 |
6,000원 |
1,650원 |
420원 |
|
차상위계층 |
12,000원 |
3,300원 |
840원 |
|
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대상 |
6,000원 |
1,650원 |
420원 |
|
다자녀가구 |
6,000원 |
1,650원 |
420원 |
전기요금
주택용전력의 전기요금은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많이 쓰면 쓸수록 단가가 비싸지는 누진요금제도가 적용되고 있습니다. 따라서 전기사용량이 증가하여 사용량 구간이 높아지면 요금 단가도 높아져서 전기요금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입니다.
◇ 전기요금 계산하기
☞ 전기요금은 기본요금과 전력량요금을 원칙으로 하고,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차등요금, 누진요금으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.
- 기본요금이란? 사용전력량 유무에 관계없이 요금적용전력에 대하여 수급개시일부터 적용하는 요금을 말합니다.
- 전력량요금이란? 사용전력량이 있는 경우 사용전력량에 대하여 부과하는 요금을 말합니다.
☞ 기본요금과 전력량요금은 하나의 전기사용계약에 대해 1개월마다 다음에 해당하는 월간 전기요금표의 해당 계약종별 요율에 따라 계산됩니다.
저압전력(표준전압 110V 이상 380V 이하) |
고압전력(표준전압 3,300V 이하) |
||||
사용전력량 |
기본요금 (호당) |
전력량요금 (kWh당) |
사용전력량 |
기본요금 (호당) |
전력량요금 (kWh당) |
200kWh 이하 |
910원 |
93.3원 |
200kWh 이하 |
730원 |
78.3원 |
201~400kWh |
1,600원 |
187.9원 |
201~400kWh |
1,260원 |
147.3원 |
400kWh 초과 |
7,300원 |
280.6원 |
400kWh 초과 |
6,060원 |
215.6원 |
☞ 또한, 전기요금에는 ① 전력산업기반기금(전기요금의 3.7%), ② TV수신료, ③ 부가가치세(전기요금의 10%)가 함께 청구될 수 있습니다.
대기전력저감우수제품 사용
대기전력저감기준에 미달하는 제품에는 대기전력경고표지를 표시해야 하며, 대기전력저감우수제품에는 에너지절약마크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컴퓨터에 표시된 에너지절약마크를 확인하고 구입하시면 전기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◇ 대기전력저감우수제품 사용하기
☞ 컴퓨터, 모니터 등 사무·가전기기는 항상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어 전원이 꺼졌다 하더라도 일정부분의 전력이 소모되는데, 이렇게 대기시간에 버려지는 에너지비용이 우리나라 가정·상업부문 전력사용량의 10%가 넘습니다. 이에 따라 대기전력저감을 위한 기준에 만족하는 대기전력저감우수제품을 사용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☞ 대기전력저감우수제품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만 되어 있고, 주기능을 수행하지 않거나 외부로부터 켜짐 신호를 기다리는 상태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의 저감(低減)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에너지사용기자재 중 대기전력 저감성이 우수하여 대기전력저감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말합니다.
◇ 대기전력저감 표시 확인하기
☞ 대기전력저감기준에 미달하는 제품에는 아래의 왼쪽과 같은 대기전력경고표지를 표시해야 하며, 대기전력저감우수제품에는 아래의 오른쪽과 같은 에너지절약마크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.
에너지소비효율등급 확인
냉장고를 구입할 때 냉장고 앞면을 보면 에너지소비효율등급라벨이 붙어있습니다.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높을수록 에너지소비효율이 높으므로 에너지소비효율등급라벨을 확인하여 에너지효율등급이 좋은 제품을 구입하면 에너지가 절약되어 경제적입니다.
◇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란?
☞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보급량이 많고 그 사용량에 있어서 상당량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기자재 중 에너지이용 합리화에 필요하다고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정한 전기냉장고, 전기냉방기, 전기세탁기, 조명기기 등의 에너지사용기자재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한 에너지소비효율 또는 에너지사용량을 1등급부터 5등급까지 나눈 것을 말합니다.
☞ 에너지효율등급이 1등급에 가까울수록 에너지절약형 제품이며, 1등급의 제품을 사용하면 5등급 제품 대비 약 30-40%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.
◇ 에너지소비효율등급 표시 확인하기
☞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다음과 같이 에너지소비효율등급라벨에 1시간 사용 시 CO₂배출량, 월간 또는 연간에너지비용, 소비효율등급 등이 표시되어 있으며, 보통 에너지사용기자재 앞면에 붙어있습니다.
☞ 다만, 전체 대상제품 중 선풍기, 백열전구, 형광램프, 안정기내장형램프, 어댑터·충전기, 변압기, 전기온풍기, 전기스토브, 전기레인지, 셋톱박스에는 다음과 같은 별도의 에너지소비라벨이 붙어있습니다.
자동차 연료 절약
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(연비)는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단위 연료에 대한 주행거리(㎞/ℓ)를 말합니다.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은 자동차에 붙어있는 라벨의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을 확인하면 에너지소비효율이 좋은 자동차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.
◇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등급 확인하기
☞ 자동차의 평균에너지소비효율은 자동차 제작업체가 판매한 모든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의 합계를 자동차 판매 대수로 나누어 산출한 평균값(km/l)으로서 연비가 높은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면 단위 연료에 대한 주행거리가 길어서 자동차의 연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☞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다음과 같이 자동차에 붙어있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라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※ 위의 에너지소비효율 및 등급 표시방법은 기존연비 표시방법으로서 승용자동차, 승합자동차 및 화물자동차(경형 제외)의 표시방법입니다.
'이야기 연구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광역알뜰교통카드 사업 대상지역 확대 (38) | 2020.04.25 |
---|---|
SNS를 이용한 "로맨스사기" 수법 (32) | 2020.04.23 |
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(11) | 2020.04.22 |
「방치된 자동차 처리」 (50) | 2020.04.20 |
주식회사 설립하기 (7) | 2020.04.20 |
댓글